카테고리 없음

수출 제한·파월 발언 ‘투펀치’…美 증시 흔들, 엔비디아 -6.8% 하락

Dr. Money 2025. 4. 17. 08:55

2025년 4월 17일 아침, 미국 증시가 크게 흔들렸습니다. 핵심 이슈는 두 가지였는데요. 첫째는 미국의 중국 반도체 수출 제한 조치, 둘째는 연준 의장 제롬 파월의 경기 둔화 경고입니다. 이른바 ‘투펀치’에 미국 3대 지수는 급락했고, 특히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은 장중 4.5% 하락하며 투자자들에게 큰 충격을 안겼습니다.

파월 발언, 시장에 냉수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트럼프의 대중 관세 정책으로 인해 물가 상승과 성장 둔화가 동시에 우려된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관세 규모가 시장 예상보다 크다며 1분기 성장세도 둔화됐다는 입장을 밝혔죠. 그는 “2% 물가 목표는 멀어질 수 있다”며 명확한 결과를 기다려야 한다는 신중론을 강조했습니다.

시장에서는 이 발언을 두고 ‘파월 풋(Powell Put)’은 없다는 시그널로 해석하고 있어, 단기적으로 연준의 개입 기대는 약화된 상황입니다.

엔비디아·테슬라 등 기술주 직격탄

이번 하락의 직격탄은 반도체와 AI 관련 기술주였습니다. 대표적으로 엔비디아는 -6.8% 급락, 이는 지난 1월 이후 하루 최대 낙폭입니다. AMD, ASML 등도 줄줄이 하락하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4.1% 하락했습니다.

테슬라도 -4.9% 하락했는데요, 관세로 인해 사이버캡(로보택시) 개발 중단, 세미 트럭 생산 계획 일시 중단을 발표했기 때문입니다. 이 두 차량 모두 핵심 부품을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어, 공급망 차질 우려가 현실화된 모습입니다.

금값 급등…M7보다 거래량 많아져

한편,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강해지며 금값이 온스당 3,357달러로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습니다. 특히 이번 상승은 달러 약세와 글로벌 불확실성 심화가 맞물리면서 나타났으며, 거래량은 미국 7대 기술주(M7)보다 많았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됩니다.

금은 올해 들어서만 28.8% 상승, 최근 한 달간만 12% 오르며 ETF·ETN 투자자들 사이에서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어요.

한국시장도 주목할 이벤트 ‘금통위’

오늘 오전에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결정합니다. 현재 연 2.75% 금리를 유지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한데요, 미국 금리 인하 전망과 환율, 가계부채 등을 고려해 연속 인하는 피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습니다.

간담회에서는 향후 금리 인하 횟수에 대한 언급도 나올 수 있어, 채권·환율·부동산 시장 모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포인트입니다.

주요 개별 종목 움직임

허츠 글로벌 홀딩스: +56.4%, 퍼싱스퀘어가 지분 보유 발표로 급등

애보트: +2.7%, 혈액 투석 기술 확장 발표

뉴몬트: +2.5%, 금값 급등 수혜

알파벳 A: -1.9%, 유명 투자자 조시 브라운 매도 소식


기타 글로벌 뉴스 요약

MSCI 한국지수 리밸런싱: 삼양식품, 한화시스템 편입 가능성…반면 엔씨소프트, LG이노텍 등은 편출 우려

트럼프-일본 협상: 자동차 관세 인하 논의…한국에도 간접적 영향 예상

미국의 중국 조선업 제재 예고: VLGC 발주 중 25척을 한국이 수주할 전망…조선 관련주 주목

아이온큐-인텔리안테크 협력: 국방 위성 양자 네트워크 구축 추진



---

마무리 한줄 정리

“지금은 수출 규제, 금리 불확실성, 그리고 기술주 약세가 시장의 삼중 악재”, 이럴 때일수록 리스크 분산과 안전자산 전략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

#미국증시 #파월연설 #엔비디아하락 #테슬라공급망 #금값사상최고 #한국은행금통위 #미중무역전쟁 #관세정책 #MSCI리밸런싱 #주식시장전망

https://stockplus.onelink.me/5C89/n4tb86t5

수출제한·파월 '투펀치'...엔비디아 -6.8% [핵심! 이슈체크]

주식시장의 주요 소식을 증권플러스에서 확인하세요!

stockplus.onelink.me